Computer Science/Cloud computing

[Cloud computing] 3. Architecture

great_park 2022. 10. 13. 00:20
반응형

Reference

1. Thomas Erl_ Zaigham Mahmood_ Ricardo Puttini - Cloud Computing_ Concepts, Technology & Architecture-Prentice Hall

2. Cloud Computing class by Professor Heonchang-Yu of the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at Korea University

중요한 내용 위주로 요약 & 정리했습니다.

목차

  1. Cloud Reference Model
  2. Differences among SaaS, IaaS and PaaS
  3. Combining Cloud Reference Models
  4. Types of Clouds

 

1. Cloud Reference Model

  • IaaS : Infrastructure as a Service
  • PaaS : Platfrom as a Service
  • SaaS : Software as a Service

(1)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 cloud service 기반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하는 인프라 중심 IT 자원으로 구성된 필요 시설이 자체적으로 구비된 IT 환경
  • cloud 소비자에게 cloud에 대한 높은 수준의 제어와 책임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
  • 일반적인 IaaS 환경에서 중앙 IT 리소스와 기본 IT 리소스는 가상 서버이다.
  • 서비스 프로바이더의 관점에서 IaaS/HaaS는 IT 인프라를 더 잘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타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데 있어 보다 안전한 환경을 제공
  • 고객의 관점에서 보면 하드웨어 구입에 할당된 자본 비용뿐만 아니라 관리 및 유지 보수 비용도 절감

 

(2) PaaS (Platform as a Service)

  • 이미 배포 및 구성된 IT 자원으로 구성된 미리 정의된 "즉시 사용 가능한"(ready to use) 환경
  • **미리 만들어진 환경(ready-made environment)**을 사용
  • 클라우드 소비자는 기존에 만들어진 플랫폼에서 작업 → IT 자원의 인프라 관리를 할 필요 없음!
  • 하지만, 기반 IT 자원에 대한 저수준의 제어권이 부여됨

 

(3) SaaS (Software as a service)

  • 공유되는 클라우드 서비스 형태의 제품이나 일반 유틸리티로 이용 가능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 단순하게 웹 사이트에 접속해서 정보를 입력하면 바로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다.
  • SaaS application은 multitenant하다.
  • 소비자는 매우 제한된 제어 권한을 갖는다.

 


2. Differences among SaaS, IaaS and PaaS

SaaS

  • 서비스 공급자가 하드웨어와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제공
  • 사용자는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러한 서비스에 직접 액세스할 수 있으며 클라우드 리소스를 제어할 수 없다.

 

IaaS

  • 서비스 공급자는 하드웨어(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및 시스템 소프트웨어(운영 체제, 데이터베이스)를 공급
  • 공급자는 보안, 무장애 기능 및 로드 밸런싱과 같은 시스템 속성을 보장

 

PaaS

  • 운영 체제 및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하드웨어 및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포함한 플랫폼만 제공
  • 서비스 공급자는 시스템 업데이트, 패치 및 소프트웨어 유지보수를 담당

 

limits of responsibility

 


3. Combining Cloud Reference Models

(1) IaaS + PaaS

  • PaaS은 IaaS에서 제공되는 물리적, 가상 서버와 같은 기본 인프라를 기반으로 구축된다.
  • provier는 일반적으로 소비자가 PaaS 환경을 이용할 수 있도록 IaaS 환경을 프로비저닝할 필요 없다.

  • PaaS와 IaaS가 서로 다른 region에 존재
  • 클라우드 provider X와 Y끼리 계약을 맺음 → X가 제공하는 service는 물리적으로 Y에 속한 virtual server에서 제공된다.

 

(2) IaaS + PaaS + SaaS

  • PaaS 환경이 제공하는 ready-made 환경은 클라우드 소비자 조직이 자체 SaaS 클라우드 서비스를 개발하고 배포하는 데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상용 제품으로 제공할 수 있다.

 


4. Types of Clouds

(1) Public cloud

  • 제3자인 클라우드 제공자가 소유하고 공개적으로 접근 가능한 클라우드 환경
  • 돈만 내면 사용할 수 있다

 

(2) Private cloud

  • 한 조직이 소유하며 소비자이자 제공자가 됨
  • 민감한 정보 유출 x

<온프레미스 시스템과 프라이빗 클라우드의 차이>

  • 클라우드의 사용 유무
  • 원격(인터넷)으로 접속해서 사용하는 경우
    • 클라우드의 핵심 기술을 사용했으면 이것도 프라이빗 클라우드
      • 가상화 기술, cloud 관리 기술 등

 

(3) Hybrid cloud

  • 민감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cloud service는 private cloud에, 덜 민감한 cloud service는 public cloud에 배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