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acmicpc.net/problem/1012
1012번: 유기농 배추
차세대 영농인 한나는 강원도 고랭지에서 유기농 배추를 재배하기로 하였다. 농약을 쓰지 않고 배추를 재배하려면 배추를 해충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한나는 해충 방지에
www.acmicpc.net
차세대 영농인 한나는 강원도 고랭지에서 유기농 배추를 재배하기로 하였다. 농약을 쓰지 않고 배추를 재배하려면 배추를 해충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한나는 해충 방지에 효과적인 배추흰지렁이를 구입하기로 결심한다. 이 지렁이는 배추근처에 서식하며 해충을 잡아 먹음으로써 배추를 보호한다. 특히, 어떤 배추에 배추흰지렁이가 한 마리라도 살고 있으면 이 지렁이는 인접한 다른 배추로 이동할 수 있어, 그 배추들 역시 해충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 한 배추의 상하좌우 네 방향에 다른 배추가 위치한 경우에 서로 인접해있는 것이다.
한나가 배추를 재배하는 땅은 고르지 못해서 배추를 군데군데 심어 놓았다. 배추들이 모여있는 곳에는 배추흰지렁이가 한 마리만 있으면 되므로 서로 인접해있는 배추들이 몇 군데에 퍼져있는지 조사하면 총 몇 마리의 지렁이가 필요한지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추밭이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최소 5마리의 배추흰지렁이가 필요하다. 0은 배추가 심어져 있지 않은 땅이고, 1은 배추가 심어져 있는 땅을 나타낸다.
1 | 1 | 0 | 0 | 0 | 0 | 0 | 0 | 0 | 0 |
0 | 1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1 | 0 | 0 | 0 | 0 | 0 |
0 | 0 | 0 | 0 | 1 | 0 | 0 | 0 | 0 | 0 |
0 | 0 | 1 | 1 | 0 | 0 | 0 | 1 | 1 | 1 |
0 | 0 | 0 | 0 | 1 | 0 | 0 | 1 | 1 | 1 |
입력
입력의 첫 줄에는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그 다음 줄부터 각각의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 첫째 줄에는 배추를 심은 배추밭의 가로길이 M(1 ≤ M ≤ 50)과 세로길이 N(1 ≤ N ≤ 50), 그리고 배추가 심어져 있는 위치의 개수 K(1 ≤ K ≤ 2500)이 주어진다. 그 다음 K줄에는 배추의 위치 X(0 ≤ X ≤ M-1), Y(0 ≤ Y ≤ N-1)가 주어진다. 두 배추의 위치가 같은 경우는 없다.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 필요한 최소의 배추흰지렁이 마리 수를 출력한다.
문제 풀이
바로 이전에 풀었던 2667번(단지번호붙이기) 문제와 매우 비슷합니다.
전략은 다음과 같습니다.
- T를 입력받고 각 test case마다 아래의 작업을 반복합니다.
- M,N,K를 입력받고 이에 따라서 2차원 리스트(graph)를 선언 및 초기화합니다.
- 문제를 푸는 solve(graph, M, N)를 호출합니다.
- solve에서는 이중 for문으로 graph에서의 값이 1인 좌표에서 BFS를 호출합니다.
이때, 가로길이 M(1 ≤ M ≤ 50)과 세로길이 N(1 ≤ N ≤ 50)이므로 충분히 시간 내에 이중 for문이 가능합니다. - BFS를 실시하여 cnt를 계산하고 최종적으로 ans에 append합니다.
- solve에서 return한 뒤, 바로 답을 출력합니다.
해당 문제에서는 단순히 "필요한 지렁이의 수"만을 요구하기 때문에 len(ans)를 출력합니다.
만약에 각 지렁이가 커버해야 할 배추의 수를 물어본다면 cnt를 출력하면 될 것 입니다.
풀이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input = sys.stdin.readline
# 이동 방향
dx = [0, 0, 1, -1]
dy = [1, -1, 0, 0]
# 정답 보관
ans = []
def BFS(a, b, M, N): # BFS로 탐색 - graph의 값이 1인 구간에서 호출할 것임
queue = deque([(a, b)])
# 초기값 처리
graph[a][b] = 0
cnt = 1
while queue:
x, y = queue.popleft()
for i in range(4):
nx, ny = x + dx[i], y + dy[i]
# 지도 범위 확인
if 0 <= nx < M and 0 <= ny < N:
if graph[nx][ny] == 1:
graph[nx][ny] = 0
queue.append((nx, ny))
cnt += 1
ans.append(cnt)
return
def solve(graph, M, N):
for i in range(M):
for j in range(N):
if graph[i][j] == 1:
BFS(i, j, M, N)
return
# test case 개수
T = int(input())
for i in range(T):
M, N, K = map(int, input().split())
graph = list([0]*N for _ in range(M))
for j in range(K):
x, y = map(int, input().split())
graph[x][y] = 1
solve(graph, M, N)
print(len(ans))
# 다음 case를 위해 초기화
ans = []
바로 이전에 비슷한 문제를 풀었기 때문에 쉽게 풀었습니다. 중간에 BFS 안에서 실수로 graph[nx][ny] = 0 대신에 graph[nx][ny] == 0으로 작성하는 바람에 무한 루프에 빠졌었네요.. 다음번에는 이런 실수 없도록 해야 겠습니다.
'Algorithm PS > DFS & BFS'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백준] 7576번 토마토 (Python 파이썬) (0) | 2022.07.22 |
---|---|
[BOJ/백준] 7569번 토마토 (Python 파이썬) (0) | 2022.07.22 |
[BOJ/백준] 11724번 연결 요소의 개수 (Python 파이썬) (0) | 2022.07.21 |
[BOJ/백준] 1697번 숨바꼭질 (Python 파이썬) (0) | 2022.07.19 |
[BOJ/백준] 2667 단지번호붙이기 (Python 파이썬) (0) | 2022.07.19 |